웹사이트 제작 도전, 랜딩페이지로 시작하는 이유

오랫동안 머릿속에만 있던 여러 아이디어를 본격적인 서비스로 만들기 위한 첫 번째 도전을 시작하려 합니다.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랜딩페이지를 통해 시장의 수요를 먼저 확인해보는 간단한 실험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첫 번째 아이디어 : 직무 리뷰 사이트

첫 번째 아이디어는 ‘현직자 직무 리뷰 플랫폼’입니다.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이직을 고민하는 분들이 진짜 현직자와 퇴사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이 아이디어가 정말 시장에서 통할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먼저 랜딩페이지를 통해 수요를 확인해 보려 합니다. 만약 이 아이디어에 대한 관심이 충분하지 않다면, 계획을 버리고 다른 아이디어를 시도해볼 예정입니다.

'이직, 더 이상 감에 의존하지 마세요.'라는 문구가 적힌 현직자 및 퇴사자의 직무 리뷰 플랫폼 랜딩페이지 화면
현재 수요 조사 중인 '현직자 직무 리뷰 플랫폼'의 랜딩페이지

 

실패하지 않는 1인 개발자의 원칙: '수요를 먼저 검증하라'

제가 이러한 방식을 선택하게 된 계기가 있습니다. 바로 1인 개발자들의 성공 스토리를 다루는 'Starter Story' 채널의 한 인터뷰 때문이었습니다. 수많은 개발자들이 실패를 겪는 이유는 아무도 원하지 않는 제품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에 등장한 사무엘 론도(Samuel Rondot)라는 1인 개발자는 이러한 실패를 피하고자 자신만의 확고한 원칙을 세웠습니다. "이미 존재하고 성공한 것이 아니면 절대 만들지 않는다." 그는 아이디어를 발견하면 Ahrefs와 같은 툴로 경쟁 서비스의 트래픽 소스를 분석하고, 광고나 SEO를 통해 고객을 확보하고 있는지 확인하며 시장의 수요를 철저히 검증했습니다. 수요가 있다는 확신이 들 때만 개발에 착수하는 그의 전략은, 제한된 자원으로 성공 확률을 높여야 하는 1인 개발자에게 매우 인상적인 접근법이었습니다.

메타 광고 라이브러리에 표시된 현직자 및 퇴직자 직무 리뷰 플랫폼 광고 미리보기
아이디어 검증을 위해 메타(인스타그램)를 통해 광고를 집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과정

사무엘의 방식에서 영감을 받아, 저 역시 제 아이디어를 가장 빠르고 간단하게 검증할 수 있는 방법으로 '랜딩페이지'를 선택했습니다. 본격적인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기에 앞서, 이 아이디어가 정말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지, 잠재 고객들이 존재하는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남들이 보기엔 작은 시작일 수 있지만, 저에게는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드는 의미 있는 첫걸음입니다. 앞으로의 과정을 꾸준히 공유하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Recent posts